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Cloud4

Terraform Terraform은 IaC(Infrastructure as Code) 에 사용되는 애플리케이션 중 하나이다. aws 관련 공부도 할 겸 실습해 보면 실무를 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여서 찍먹 시작! * 이전에 aws credential 설정 작업이 선행되어야 한다. 먼저 홈페이지에서 자신의 운영체제에 맞는 파일을 다운로드해 주자. https://www.terraform.io/ Terraform by HashiCorp Terraform is an open-source infrastructure as code tool that enables you to safely and predictably provision and manage infrastructure in any cloud. www.terrafor.. 2023. 6. 2.
Security Group Security Group은 Instance의 보안에 사용되는 방화벽 같은 존재이다. NACL과는 달리 stateful 형태로 세션 정보를 저장하기에 Inbound된 통신이 허용되었다면, Outbound도 허용이된다. 또한 Security Group은 허용 설정만 가능하며 차단 설정은 되지 않는 점이 다르다. 해당 정보를 보려면 Instnace나 네트워크 및 보안 > 보안 그룹에서 Security Group을 확인해도 된다. 여기서는 Instance를 통해 설정하는 법을 설명한다. Instance의 정보 중 보안 탭으로 들어가면 보안 그룹이 보이며, sg-랜덤한 숫자와 알파벳이 조합된 이름이 보인다. Security Group을 클릭 해주면 아래와 같이 Inbound 규칙 설정이 가능한데, 서버에 대한 .. 2023. 6. 1.
AWS Credential 설정 먼저 IAM 서비스에서 사용자 메뉴를 통해 사용자를 생성해주자. 사용자 이름을 입력하고 사용자를 생성해준다. (Console 사용여부는 입맛에 맞게 설정.) 생성된 사용자의 보안 자격 증명 탭의 Access Key를 생성 해주자. CLI를 사용할거라 맨 위의 CLI를 선택하고 생성을 해준다. 생성되면 키 정보를 csv로 받겠냐고 물어보는데, 키 정보가 담긴 파일이니 받아두자. 해당 csv 파일을 열어보면 아래와 같이 Access Key랑 Secret Access Key 정보를 확인 할 수 있다. 아래와 같이 명령어를 입력하면 Access Key와 Secret Access Key를 입력 받는데, 생성했던 Access Key 정보를 입력해주자. aws configure 키 정보를 입력해주면 아래의 경로에 c.. 2023. 5. 20.
AWS CLI AWS 를 Console이 아닌 cli를 통해 제어가 가능하다. Console을 통해 AWS를 사용하면 GUI로 되어있어서 편하게 사용이 가능하지만, cli를 사용하면 자동화도 가능하며 익숙해지면 Console보다 더 편하게 AWS를 사용할 수 있다. 아래에서 자신의 OS에 맞게 AWS CLI를 설치해준다. https://docs.aws.amazon.com/cli/latest/userguide/getting-started-install.html Installing or updating the latest version of the AWS CLI - AWS Command Line Interface When updating from a previous version, the unzip command prom.. 2023. 5. 20.
반응형